잘 팔리는 신상품은 감이 아니라 데이터가 만든다 – 진짜 기획 전략은 이렇게

반응형

신상품 기획, 어떻게 하시나요? 많은 마케터들이 트렌드를 감으로 예측하고, 인기 있는 소재나 경쟁사 제품을 참고해 기획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리스크가 크고 반복하기 어렵습니다.
지금은 데이터 기반 전략이 기본이 시대입니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품 기획은 정확한 타깃 설정, 시장 예측, 소비자 니즈 반영까지 가능하게 만듭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어떻게 데이터를 활용해 성공적인 신상품을 기획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실제 사례: 토니모리의 '데이터 기반 기초화장품 개발'

화장품 브랜드 토니모리는 기존에 색조 화장품 중심으로 20여성 타깃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30여성층의 니즈반영한 기초 화장품군으로 사업 방향을 확장했습니다.
변화는 단순한 직관이 아니라, 정밀한 데이터 분석기반해 이루어졌습니다.


2. 단계별 기획 프로세스 – 데이터를 이렇게 활용했다

토니모리는 신제품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4단계 전략 분석 프로세스설정했습니다:

화장품 시장의 전체 트렌드 분석

  • 칸타 데이터통해 전체 화장품 매출 기초(스킨케어) 제품군이 57% 차지
  • 반면 색조 제품은 관심도는 높지만 매출 비중이 낮음
  • 따라서 기초 라인을 공략해야 높은 매출 기대 가능

자사 제품과 고객층 현황 분석

  • 토니모리의 실제 고객은 20여성 중심
  • 하지만 30여성은 화장품 전체 시장에서 가장 높은 구매력 보유
  • 결론: 30여성을 타깃으로 기초 라인 강화 필요

경쟁사 유사 제품 포지션 분석

  • 2017이후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천연, 항염, 면역, 보습, 건강
  • 코로나 이후, 위생·면역력·친환경 제품 수요 급증
  • 문제: 대부분 고가 프리미엄 제품
  • 전략: 저가 + 대용량 + 천연성분 조합 제품 개발 → 시장 공백 포착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니즈 반영

  • 건강과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착한 소비 트렌드확대
  • 친환경 용기, 재활용 포장, 기능성 원료 등이 구매 결정 요인이
  •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케팅 메시지와 패키징 전략까지 연결

3. 신상품 기획의 핵심: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도출

이처럼 데이터 기반 기획의 핵심은 단순한 수치를 읽는 데서 그치지 않습니다.
시장 변화 → 자사 대응 가능성 → 경쟁사 위치 → 소비자 행동
흐름을 한눈에 정리해 전략적으로 반영하는 진짜 데이터 마케팅입니다.
결국, 기획자가 해야 일은 데이터 속에서 인사이트를 발견하고, 그것을 제품과 연결짓는 능력키우는 것입니다.


결론: 데이터는 기획의 나침반이다

이제 신상품 기획은 이상 '감'의존하지 않아도 됩니다. 고객이 누구인지, 시장이 어디로 움직이는지, 어떤 가치를 원하는지이미 수많은 데이터 속에 담겨 있습니다.
데이터를 꺼내어, 분석하고, 전략화하는 것이 진짜 기획자의 역할입니다.
당신이 지금 기획하고 있는 상품, 정말 데이터를 반영하고 있나요?